본문 바로가기
알면 유용한 정보 쏙쏙

전입신고 신청 방법 & 필요서류 (온라인/오프라인/확정일자) 한눈에 알아보기(2023)

by 똑똑젼이 2023. 5. 8.
반응형

새로 이사를 했는데 주소지를 옮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새로운 주소지로 이사를 한 경우, 꼭 해야 하는 전입신고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온라인 신청 방법과 필요 서류, 확정일자까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전입신고란?

2. 전입신고 신청 방법(오프라인, 온라인)

3. 전입신고 필요 서류

4. 전입신고 확정일자


 

1. 전입신고란?

 

세대주가 살던 집을 떠나 다른 곳으로 이사를 했을 때, 14일 이내에 주소지를 변경하는 작업을 전입신고라고 합니다. 만약 정당한 사유 없이 전입신고를 14일 이내 하지 않을 경우 5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전입신고는 새로운 주소지로 이사를 했음을 알리는 목적도 있지만 전세 또는 월세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안전장치이기도 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사를 한 집이 갑자기 경매에 넘어가게 되는 경우 전입신고를 하지 않았다면 미리 냈던 보증금을 못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이사 후 전입신고는 필수입니다.

 

 

2. 전입신고 방법

 

1) 오프라인 신청

 

새 거주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하셔서 오프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없거나 주민센터 거리가 멀다고 하시는 분들은 온라인 신청을 추천드립니다.

 

 

2) 온라인 신청

 

정부 24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정부 24 바로가기

 

 

① 1단계 신청인 정보 입력 : 신청인 성함과 연락처, 전입 사유를 적습니다.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1

 

② 2단계 이사 전 살던 곳 정보 입력 : 이사 전에 살던 주소 및 이사를 가는 사람을 체크해 줍니다.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2

 

③ 3단계 이사 온 곳 정보 입력 : 이사한 상세 주소를 입력한 뒤, 아래와 같이 해당되는 문구를 클릭해 주시면 됩니다. 이사 온 사람끼리 세대 구성은 살고 있지 않은 빈집으로 이사가게 되는 경우로 본인 정보를 입력하시면 되고, 이사 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에는 기존 세대주 성명과 주민등록번호, 핸드폰 번호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3

 

④ 신청완료 : 해당되는 문구에 체크 및 입력을 하셨다면 맨 아래 신청완료를 누르시면 전입신고 완료입니다. 확인을 누르기 전 제대로 했는지 다시 한번 확인하신 뒤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4

 

⑤ 나의 서비스에서 신청내역을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신청 내역을 볼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온라인 신청 5

 

 

3. 전입신고 필요 서류

 

온라인은 따로 서류가 필요 없지만 본인인증을 해야 하므로 공인인증서나 본인 인증이 확인되는 앱(네이버, 카카오톡, pass 등)이 필요합니다. 오프라인인 경우, ⓐ신분증 ⓑ전입신고서 작성 서류 ⓒ임대차 계약서가 필요합니다.

 

 

4. 전입신고 확정일자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위에서 언급했던 이사한 집이 경매에 넘어갔을 경우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서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첫 번째는 이사한 집에 세대주가 입주를 하고 있어야 하고 두 번째는 전입신고, 세 번째는 확정일자입니다. 전입신고를 하셨다면 바로 확정일자를 받아놓으셔야 합니다.

 

확정일자 또한 전입신고처럼 오프라인,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계약서를 작성하시고 이사했던 거주지 인근 주민센터에 방문하시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준비물은 임대차 계약서와 신분증, 수수료는 500원 정도 듭니다.

 

온라인 신청은 대법원 인터넷등기소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화면 옵션에 확정일자를 누르신 뒤 아래와 같이 절차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

 

 

 

 

오늘 이렇게 전입신고받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어렵다고 생각되지만 생각보다 쉽고 간단한 전입신고 신청, 깜빡하고 놓치지 마시고 얼른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전입신고를 하신 뒤 확정일자 또한 신청해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하시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